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혹시 자기가 불행을 스스로 만들고 있지않는지 알아보는 법

by 검은양(黑未) 2024. 10. 7.
반응형

하루에도 수십 번씩 마음이 달라집니다. 내가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면 세상을 다 얻은 것처럼 행복합니다. 그런데 그 시간이 참 짧습니다. 그러다 원하는 게 안되면 불행하다 생각됩니다. 그 시간은 진짜 아주 길게 여겨집니다. 오래 이어지지요. 행복에 잠식되기보다 불행을 더 애정하고 있지는 않나 라는 의심이 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진정 행복을 추앙한다면 미칠 듯이 행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지만 진정 우린 그렇게 하는지 물음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불행 을 스스로 만드는 사람들 특징

 

1. 남의 시선을 신경쓰고 있거나 SNS에 매일 심취해 있으며 그 안의 세상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있나요?

ppss.kr

 

●저 역시 SNS를 통하여 글을 쓰고 있지만 매일 글을 쓰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다른 사람의 반응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고 그렇다 보니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보다 내 글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느라 진작 지금이라는 현실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것을 어쩌면 중독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중독은 사람을 쉽게 피폐하게 한다는 점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 우리가 보는 SNS의 세상은 어쩌면 허구가 판을 치고 있을지 모릅니다.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정보는 넘쳐나고 글 쓰는 사람의 주장이 강하면 강할수록 거짓은 진실이라는 외투를 걸치기 쉽습니다. 

 

● 타인의 평가를 신경 쓰게 됨으로써 그들의 반응에 행 불행이 엇갈린다면 주체를 잃어버린 자아는 불행을 스스로 만들고 있다는 뜻입니다.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 매일 신경 쓰고 SNS를 매 순간 들여다보고 있습니까?

 

2. 타인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습니다.

cnts.godpeople.com

 

● 다른 사람을 증오하면 자기의 마음은 지옥을 삽니다. 그렇게 매일을 산다면 불행은 어느새 자기의 몸에 세포처럼 붙어서 자라날 것입니다. 

 

● 누구나 실수를 합니다. 자신은 실수를 하지 않는 것처럼 타인의 실수를 용서하지 않는다면 가족과 친구 외 더 많은 것을 잃게 됩니다.. 현명한 자는 용서하고 잊지는 않는다고 했습니다. 지금 용서 못하고 있는 가족이나 친구 혹은 지인이 있습니까?

 

3. 성취불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있지 않습니까?

 

● 물론 꿈을 장대하게 가져야 한다고는 했습니다. 그러나 실현 불가능한 꿈은 쉽게 우리를 좌절시킵니다. 좌절된 마음은 우리를 불행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남들이 비트코인으로 돈을 크게 벌었다고 하면 나도 그렇게 될 수 있다고 믿고 공부도 채 되지 않았지만 꿈만 믿고 시도한다면 불행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 나도 워런버핏처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와 똑같이 공부도 하지 않으면서요?

 

● 실천가능한 목표는 자신감을 키우고 성공의 감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칫 실현불가능한 꿈은 늘 우리를 불행의 늪으로 빠져들게 합니다.  나는 외모가 김태희는 아니지만 뇌만큼은 김태희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4. 지나간 일을 두고두고 곱씹고 있지 않나요?

 

● 지난 일들을 마치 소가 되새김질 하듯 두고두고 씹는다면 불행의 양념은 그 되새김질에 맛을 더하게 되어있습니다. 실수한 일, 잘못한 일은 빨래판에 빨래처럼 두들겨서 깨끗한 물로 씻어 버려야 합니다.  그래야 불행이 씻어내려 간 자리에 말끔히 행복이 들어오게 되어있습니다.

 

5. 어떤 일에 쉽게 포기해버렸나요?

 

● 한번 해보고 안된다고 포기하면 그 포기한 것은 자꾸자꾸 쌓여서 더 이상 시도해 볼 용기가 남아있질 않습니다.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잊어버리고 다른 것에는 새롭게 시도해 보면 됩니다. 포기는 배추포기에만 써야 할 용어입니다.

 

6. 남을 험담하거나 부정적인 말을 하고 있나요?

 

●자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사람의 험담을 늘어놓거나 부정적인 말을 하고 있다면 이는 불행을 불러들이는 일을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남을 비방하는 자는 불행을 자초할 뿐 아니라 자기의 좋은 운까지 걷어차고 있는 꼴입니다. 

 

● 언어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말은 좋은 기운을 , 부정적인 말은 부정적인 기운을 불러들임을 알아야 합니다.

 

7. 아무 운동도 하고 있지 않나요?

 

● 건전한 마음에 건전한 정신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운동은 외모를 위해서라기보다 육체와 영혼은 분리된 게 아니기 때문에 건강한 영혼을 가지기 위해선 건강한 육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운동은 그러한 의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몸을 쓰는 적당한 운동 은 마음의 행복을 불러일으킵니다. 

 

8. 몸에 해로운 음식을 매일 먹는가요?

 

kor.pngtree.com

 

● 프랑스의 문인 브리야사바랭 은 " 당신이 무엇을 먹는지 말해달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줄게"라는 말을 했어요. 그만큼 우리가 무엇을 먹는지는 중요합니다. 먹는 음식이 우리의 영혼까지 지배한다고 볼 수 있죠.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다면 행복감이 상승할 것입니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먹는 음식은 대부분 건강식이 아닐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한 음식을 먹음으로써 긍정에너지는 확장된다고 믿습니다.

 

9. 내면보다 외모, 보이는 것에만 신경을 쓰는가요?

● 타고난 외모에 대한 불평은 불행한 마음을 키웁니다. 전신성형을 하여 바꿀 수도 있지만 우리가 보는 외형의 모습은 가변적이며 그것으로만 오래갈 수 없습니다. 내면을 키울 수 있는 능력을 기름과 동시에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심안을 키우는 법을 알아간다면 더욱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살 수가 있습니다.

 

글 마무리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하지만 그 행복을 위해 너무 많은 희생을하고있는 건 아닌지 고민해보게됩니다. 그리고 행복이라는게 과연 대단한건가 생각해보면 사실은 가장 소박하고 볼품없는것이라 우리가 쉽게 지나치고 아무렇게나 대하고 있는것들이 진정 행복한것인건 아닌가 반추해봐야 할것같습니다. 불행을 자초하는 그런 짓들만 하지않아도 행복은 이미 우리곁에 있습니다. 그렇게 늘 곁에 있어 바라봐주길 기다리고 있는건 아닐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