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가 음지의 학문에서 양지로 나온건 그리 오래되지않았습니다.
예전에는 천기를 다루는 것이라 제왕 들이 사용하던것이었고 일반 서민들은 알지도 못하였고
배울수도 없었습니다. 현대에는 누구나 배울수있게 되었지만 변색이 되고있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사주란 사주는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기 위하여 파악하는 출생한 연·월·일·시를 가리키는 종교용어입니다.
사람을 하나의 집으로 비유하고 생년·생월·생일·생시를 그 집의 네 기둥이라고 보아 기둥 주(柱)자를 붙여
사주라 했습니다. 각각 10간과 12지에서 따온 글자를 두 글자씩 합하여 모두 여덟 자로 나타내므로
팔자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세워진 사주가 그 사람의 운명을 함축한다고 보는 것을 명리라 하고, 사주의 구조를 분석·종합하여
그 사람의 길흉화복을 추리하는 것을 추명이라 합니다.
추명에는 사람의 선천적 숙명을 판단하는 일과 다른 술법에 원용하여 흉화를 길복으로 바꾸는 두 기능이 있습니다.
-한민족 문화 대백과사전 에 나와있는 내용을 옮겨왔습니다-
출처: 교보문고
사주는 점술이 아님을 알아야합니다.
사주는 보다더 복잡한체계로 이루어져있으며 그리 간단하게 좋다 나쁘다로 규정지을수있는게 아닙니다.
그런데 요즘 사주배우시는 분들이 자연의이치와 원리 를 깨치지않고 방정식으로만 풀어서 외운 내용으로만
사주를 보니 악담을 하게되고 부정적인 인식을 주게 됩니다.
자연에 좋고 나쁨이 있던가요? 아니 좋고 나쁨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깊이 생각해보면 자연은 자연 그대로 보아야합니다. 거기다 선악을 구분하면 제대로 볼수없게 됩니다.
운명이란 인생의 우주적 변곡선에 다름아닙니다.
운명을 사유한다는 건 인생과 자연사이의 상응과 교감을 전제한다고 일찌기 공부하신분들은 말을 하고있습니다.
이 말의 의미를 깨치고 남의 사주를 읽어내어야 합니다.
저역시 늘 고민하고 갈등하고있는 부분중 하나입니다. 좋다고 다 좋은게 아니고 나쁘다고 다 나쁜게 아닙니다.
자연의 순환, 모든건 순환한다는것,
그리고 누구에게나 계절의 순환작용은 적용이 된다는것은 변하지않는 진리입니다.
"점술은 하늘의 신비한 우연성을 사람들이 바라게 하고
명리학은 땅과 인간의 이치를깨닫게 만들어주는 학문이다" 라고 한 어느 학자의 말이 생각이 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