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운 음식을 참 좋아합니다. 그리하여 모든 음식을 맵게 변신시켜 버리는 고질병을 가지고 있지요. 청양고추가 그렇게 사랑스러워 보일 수가 없습니다. 맵게 먹으면 정신이 맑아지고 기분도 좋아지니 중독성이 생겨 더 찾게 됩니다. 옛날보다 매운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아요. 왜 그렇게 된 것일까요? 매운 게 주는 매력은 마니아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매운 음식에 관한 연구
음식섭취와 심혈관 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중국 광시의과대 연구팀이 성인 5만 174명을 대상으로 약 10년간 분석을 한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매운 음식섭취 빈도수에 따라 건강상태를 분석해 봤을 때 1주일에 세 번 이상 매운 음식을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혈관 막힘을 겪을 가능성이 20% 나 낮았다고 나왔습니다.
● 1주일에 메운 음식을 한번 이상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허혈성 뇌졸중 바병 위험이 13% 낮았다는 연구결과입니다.
● 주목할만한 건 남성은 여성이 일주일에 한두번만 먹어도 발병위험이 낮은 반면 남성은 일주일에 세 번에서 다섯 번 이상 섭취해야 발병위험이 낮게 나왔는데 이는 호르몬차이일 것이라고 연구팀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단핵구 활성화를 막아 혈중 염증 수치를 줄이고 혈관 내피세포의 콜레스테롤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데 매운음식을 섭취하면 에스트로겐과 캅사이신이 함께 심혈관계 보호를 합니다.
매운고추 의 효능
● 고추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스코빌(Scoville)"로 측정하는데요, 제가살 고있는 독일에서는 매운맛소스로 가장 많이 먹는 게 타바스코 가 있어요. 2500~3000 스코빌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할라피뇨 고추는 2500~8000 스코빌 이 됩니다.
● 자연에서 발생하는 가장 매운고추는 멕시코 하바네로스 또는 캐리비안 스카치 보닛이며 약 100,000 스코빌 정도가 된다네요. 아래에 있는 사진이 캐리비안 스카치보넷 고추입니다.
● 캡사이신 (Capsicum ) 함량이 높을수록 매운맛이 많이 납니다. 가장 맛있고 비타민 C 가 많은 30,000 스코빌 고추는 특히나 건강에 매우 좋다고 합니다. 이 매운맛은 뇌에서 엔도르핀을 방출시켜서 기분이 좋아지게 만듭니다.
● 매운고추는 식욕과 혈액을 촉진하며 소화불량과 고창에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긴장과 근 욱 통에 도움이 되며 항균작용도 하지요.
● 비타민A B1 B2 B3 뿐만아니라 비타민 E, 철분 칼슘도 포함하고 있으며 레몬에 비해 비타민 C 양이 두 배나 많이 들어있어요. 더불어 캅사이신은 알코올의 양향으로부터 위 내벽을 보호하며 다이어트하는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지방연소효과가 탁월합니다.
건강하게 매운음식을 먹는 방법
● 매운 음식이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나왔지만 어떻게 먹느냐도 중요합니다. 심혈관질환에 소금은 병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양념이 많이 되거나 짜게 음식을 만들어먹는 것은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 고추는 최대한 덜 양념해서 먹거나 소금이 많이 안되게 요리하여 드시는 걸 추천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고추 자체로서 먹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을 합니다.
글마무리
매운맛을 좋아해서 많이 먹고 있어서 이번 연구결과가 기분을 좋게 합니다. 고추는 특별히 애정하는 식물군에 속해서 우리 집 텃밭에 주인공으로 몇 그루가 한여름동안 잘 지키고 있었습니다. 올해도 수확한 고추를 잘 말려서 스파게티 만들 때도 넣고 매운 소스 만들 때도 넣어서 해 먹어요. 이렇게 나의 심장혈관질환을 예방하니 이런 병은 겁 안내도 될 것 같죠?
'독일시골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운빠지고 무기력할때 들으면 힘이나는 독일가요한곡-니나하겐 (67) | 2024.11.30 |
---|---|
올해의작가상을 받는고명환 인생역전 혹은 그의 특별함과 평범함의 차이란! (80) | 2024.11.29 |
21일 오블완 잔치는 끝났다! - 내글의 최고의 독자는 나였음을 (97) | 2024.11.27 |
올해11장의 사진 - 내 버킷리스트 가 이루어진 기념비적인 해 (90) | 2024.11.26 |
감동스토리- 죽음을 앞둔 소년의 소원 을 들어주기위해 2만대의 바이커가 한꺼번에 모이다! (82) | 2024.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