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일시골생활

심리이야기- 차가운커피를 좋아하는 사람VS따뜻한 커피를 좋아하는사람

by 검은양(黑未) 2025. 2. 8.
반응형

이렇게 추운 겨울엔 역시 국물 있는 밥상이 좋습니다. 독일식단은 주부들의 일이 수월하게 이루어져 있어요. 빵을 아침 혹은 점심으로 주식을 많이 먹기에 뷰어스트 라고 하는 소시지종류나 치즈 그리고 쨈 만 있으면 따로 히 뭔가 지지고 볶고 해야 할 일이 없이 있는 것을 그냥 내어놓는 정도의 간편한 식탁을 차릴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씩 마른빵 부스러기로 배를 채우기가 아쉬울 때는 냉동실에 아껴둔 멸치들을 동원해서 텃밭에 반쯤 얼어서 살아남은 엄지손가락만 한 무를 파내어 넣고 20프로쯤은 말라비틀어진 파를 과감히 다 썰어 넣어 다시마와 함께 푹 끓여냅니다. 구수한 냄새가 몽글몽글 오르면 건더기를 건져내고 육수를 뽑아서 잔치국수를 해먹기도 하고 된장풀어넣어 시래기국도 끓이기도 합니다.

 

 

 

계절에 맞추어 한국음식은 차가움과 뜨거움이 번갈아가며 식탁을 채우죠. ​ 아..이번엔 국 이야기를 하려고 한건 아니고 사실 커피를 말하려고 했어요.  독일식단에서 마른 빵을 촉촉하게 해주는 역할은 우리네의 국 대신 커피 가 이를 대신하고 있다고 봐요.

 

새로운 공동작업을 하게되어 많은 사람들과 요즘 일을 하는데 저녁 에도 아이스커피를 늘 마시는 사람들이 꼭 있습니다. 저는 추워서 목도리까지 하고 있는데 신기하게 얼음을 오도독 씹으며 마시고 있더라고요. ​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을 하다 보니 상대와의 호흡이 맞지 않으면 지난한 연습이 무한반복됩니다.

 

그러면서 신경도 예민해지고 불쑥불쑥 가시돋힌 말도 나오지요. 이 상황에서 문득 한 가지 사실을 보게 됩니다.  약 서너 명 정도가 늘 차가운 음료를 마시는데 유독 그들의 행동이나 말이 냉정합니다. 대화중에서 툭 튀어나오는 게 마치 각얼음 얼굴에 탁~뱉어내는 것 같은 싸늘함이 느껴져요.

 

반대로 따뜻한 음료 마시는 사람에게선 닿아지는 손 에서 따땃함이 올라오니 내 마음까지 편안합니다. ​ ​이것이 우연히 느껴지는 나만의 감정일까 생각이 들어 자료들을 찾아봤습니다. 차가운 커피 마시는 사람과 따뜻한 커피 마시는 사람의 심리적인 게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일까 싶은 거죠.

 

 

 

인지심리학자의 실험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는 몸의 따뜻함 정도와 행동이 어느 정도 연결되어 있음에 대한 통계자료를 내어놓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

10명의 면접관이 10층까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는데

5명에게 따뜻한 커피를 주고 5명에게 차가운 냉음료를 쥐어주면

몇 분의 시간 동안 따뜻해진 손이 된 5명의 면접관들은

지원자를 좀 더 따뜻하게 이야기를 하고

차가운 컵을 든 면접관들은 같은 지원자를 차갑게 평가한다고 합니다. ​

 

몸의 따뜻함 정도와 어떤 상대에 대한 따뜻한 생각과 행동이 연결이 되는데 이것을 체화된 인지현상이라고 합니다. 내 몸과 생각 즉 오감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는 거지요!

 

 

글마무리

커피는 당연히 아이 스지~ 하는 얼죽아들이 마음씨가 안 좋다고 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라는 걸 꼭 밝히고는 싶어요. 단지 이렇게 바깥기온이 차가울 때 따뜻함을 불러들여 마음까지 차가워지지 않게 하자는 뭐 그 정도의 의미로 저는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오늘 따뜻한 음료 두 손에 모으고 이 체온으로 주변인에게 따뜻한 말 건네보는 하루가 되길 기원합니다. ​ 저는 따뜻한 커피가 더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